본문 바로가기

상례와 가례

가신신앙(家神信仰) 점복신앙에 이어 이번엔 가신신앙에 대해 몇 자 적어보겠습니다. 그저 재미로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가신신앙은 집 가(家) 자를 써서 집안에 관련된 신(神)들입니다. 예전의 가옥구조를 보면 대청마루 중앙에 세워져 있는 큰 대들보가 있습니다. 집안 전체의 뼈대를 이루고 큰 틀의 건물을 지켜주는 신, 바로 성주(城主) 신입니다. 집도 하나의 성(城)으로 봤던 시각입니다.  지금은 장례식장을 통해 장사를 치릅니다만, 예전엔 모두 집에서 장사를 치렀습니다. 지금의 장례식장에서 꽃장식이 설치된 제단, 이곳을 영좌(靈座)라고 하며 고인을 모신 곳을 말합니다. 발인날이 되어 집밖으로 나가기 전 집안의 동서남북 곳곳에 관의 앞을 내려 성주신께 인사를 드리며 나왔습니다. '그간 잘 보살펴줘 고맙습니다',라고 말입니다. 조.. 더보기
명복(冥福)을 빕니다. 인생을 살다 보면 여러 굴곡의 언덕을 오를 때가 있습니다. 파도와 같은 큰 풍랑 속에서도 그 길이 내가 갈 길인지도 모르면서 그저 막연히 나아갈 때도 있지요. 사람 사는 게 다 그렇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래도 늘 한 곳에 시선이 머무는 이유는 희망이라는 이유가 거기에 있기 때문일 겁니다. 장례지도사로서 혹은 염사로서 여러 고인을 만나다 보면 그들의 삶의 궤적이 훅하고 스쳐 지나갈 때가 있습니다.(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일 수도 있으니, 오해 금지입니다.) 세상에 오셔서 원하든 원하지 않던 각고의 노력으로 살아오셨을 겁니다. 부와 권력을 많이 가졌을 수도, 시름의 고통을 가지고 한평생 살아왔을 수도, 평생 주변인의 삶을 살아왔을 수도 있었을 겁니다. 모두 그들이 가진 인생역정(人生歷程)인 셈입니다... 더보기
종교에 따라 다른 조문(弔問)방법과 공수(拱手)법 종교적 예법은 일반적인 예법과 유사하지만, 기독교 장례식에서는 고인에게 절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소천'이라는 표현은 하늘의 부름을 받아 주님 곁으로 갔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개신교에서는 다른 종교의 조문객들도 이러한 예법을 따르도록 권장하고 있어, 그들의 종교적 관습을 존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독교식 빈소에 들어가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제단 앞에 헌화한 후, 한 걸음 물러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 묵념(묵도)을 올린 후 상주와 맞절(1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을 전한다.  -천주교식 빈소에 들어가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제단 앞에 헌화한 후, 한 걸을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 묵념(묵도)을 올린 후 준비된 향을 .. 더보기
조문(弔問)예절 조문의 방식은 종교별로 다르지만 고인에 대한 정중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인간됨의 도리입니다. 상가 방문 시 그에 맞는 예절을 반드시 알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조문예절에 관해 간단히 정리합니다.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1.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둔다. 2.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3. 분향은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가급적 1개/많이 피우면 공기가 좋지 않습니다.)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가볍게 흔들어 끄고, 왼손으로 가볍게 받쳐 공손히 향로에 꽂는다. 헌화(국화꽃)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제단 위에 올린 뒤 묵념 및 기도를 한다.(꽃의 방향은 예서(禮書)에는 없는 내용으로 제단의 선례에 따르자.)4.. 더보기
이곳이 명당? 매장(埋葬)을 갔을 때, 유가족 중 한 분이 저에게 '지도사님, 여기 산세가 좋아 보이시나요? 이곳은 꽤 오래전부터 봐왔던 자리입니다.'라고 물으셨습니다. 전문 분야도 아닌 저는 '산세가 매우 좋아 보입니다'라고 간단히 답했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편해 보였으니 그렇게 답변한 것입니다. 오늘은 간단히 풍수에 대해 몇 자 남깁니다. 풍수지리(風水地理)는 풍부한 지식과 탐구 없이는 쉽게 판단할 수 없는 실용적인 학문입니다. '풍수'라는 용어는 자연이 땅과 물의 모든 기운을 조절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인간의 안락함과 생기를 도모하고 공간을 창조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과학과 미신의 관점은 제 설명이 부족해서 넘어가겠습니다. 하지만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학문이란 것에 대해선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더보기
우리생활과 함께한 무(巫)신앙 여러 종교의 장례를 치르면서 항상 느끼는 것은, 많은 분들이 특정 종교의 예법에만 한정되지 않고, 말이나 행동을 통해 그 어떤 것을 위해 기도 혹은 기원한다는 점입니다. 살아오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우리만의 독특한 내재적 염원이라고 보입니다. 무속이라고 하면 우린 막연히 무당의 행위만을 가지고 평가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무우리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래서 오늘은 왜 그런지 짧고 진지하게 고민해 보겠습니다. 이 글은 미신을 옹호하고 무속을 미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을 미리 밝혀둡니다. 철학적 접근도 아니고 학문적인 접근도 아닌, 매우 개인적인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유교는 조선 시대의 국가 통치 이념이자 원동력이었습니다.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국가 근본으로 삼았지만 그 이면에는 .. 더보기
산 자와 죽은 자의 소통? 어려운 예법이 전해지는 상례와 장례의 과정 중 전통적인(종교와는 별도로) 방식에 따라 장례를 진행하는 장례지도사로서 가끔 느낀 점이 있습니다. 어려운 한자(漢字)와 그 뜻으로 고인과 유가족에게 느낌이나 감정, 그리고 감동 없는 내용을 전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지 말입니다.전, 그래서 아주 쉽게 한 자 한 자, 그 뜻을 풀어서 전해드린 답니다. 전통적인 유가(儒家:유교)의 집안이 아니라면 가끔은 축문 대신 편지를 읽어 드리기도 하지요. 일종의 한글 제문인 셈입니다. 고인께 전하는 유가족의 사랑을 모두가 함께 느끼고, 천상에서의 평안을 기도하는 순간을 만들어드리는 것, 제가 도와드려야 하는 일입니다. 편지 형식의 제문(祭文)을 만들어 감동과 그리움을 고인께 전하는 것이 모두가 함께하는, 의미 있는.. 더보기
수의는 꼭 입어야 합니까? 가을이 저물어갑니다.오늘은 입관할 때 고인에게 입히는 수의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을 몇 자 적어보려 합니다. 수의(壽衣)는 망자 혹은 죽은 자에게 입히는 옷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무한을 상징하는 불교의 만자(卍)에서 유래한 목숨의 '수(壽)'와 옷의 '의(衣)'를 합친 말입니다. 우리는 수의를 입혀야만 예를 갖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수의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며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빈소에서 수의 문제로 유족분들이 고민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됩니다. 장사치의 마음이라면 '가장 좋은 수의를 입혀야 한다'라고 말씀드려야 할지도 모르지만, 저는 그렇게 조언하지 않습니다. 고인께서 평소에 좋아하시고 자주 입으셨던 옷을 입혀드리는 것이 더 의미 있을 수 있다고 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