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짧은 斷想...

영원한 이별 아직 온기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손때가 많이 묻어 있는데, 사람들은 지우려 합니다. 영원히 간직하고 싶은데, 죽은 이의 길을 막는다고 합니다. 우리가 만들어 놓은 덫에 우리가 걸렸습니다. 아둔한 인간들... 그래도 죽은 이의 복을 빌어봅니다. 더보기
아버지! 선친(先親)께서 임종하셨습니다.천붕지통(天崩之痛: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큰 고통) 합니다. 너무나도 빠르게 우리들 곁을 떠나셨습니다.큰 눈물이 납니다.  임종을 지키진 못했습니다.큰 죄인이 되었습니다... 아버지의 눈물을 잠깐 본 적이 있습니다.그 눈물의 의미가 무엇인지 지금은 알 것 같습니다. 인생사 희로애락이 무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 이 순간도 살아계신 듯합니다. 더보기
3일장과 無빈소 현재엔 주로 3일장을 많이 치릅니다.또, 형편과 사정에 따라 빈소 없는 무빈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말 그대로 조문 받을 빈소를 만들지 않겠다는 겁니다. 발인 당일 입관 후, 화장장 혹은 장지로 이동함을 말합니다.(스케줄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담당 장례지도사의 안내를 받으세요!)비용의 절감이 있으며, 유가족의 적절한 시간 안배에 효과가 있습니다.상, 장례를 보여주기식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가끔 봅니다.후사가 있는 경우, 사람됨의 도리를 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만, 자신의 형편에 맞게 진행하시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장례 후, 경제적인 문제로 머리 아플 수 있습니다.갈등은 덤이구요. 더보기
살아있는 모든 것은 저는 빈소에서 유가족에게 전하는 여러 시 중에서도 특히,미국 시인 브라이언 멜로니의 '살아 있는 모든 것은'을 자주 들려드립니다.이 시는 삶과 죽음에 관해 그들의 담대한 태도를 엿볼 수 있게 합니다. 개인적으로 유가족에게 항상 '내일을 오늘처럼 사십시오'라고 조언드립니다.가고 싶은 곳이 있다면 '오늘 가시고', 먹고 싶은 것이 있다면'오늘 드십시오'라고 말이죠.이 시의 몇 구절을 옮깁니다. 살아 있는 모든 것에는시작이 있고 끝이 있단다.그 사이에만 사는 거지. 우리 주위 이디에서나항상 무언인가는 시작되고무엇인가는 끝이 나고 있지. 수명이 아무리 길어도수명이 아무리 짧아도,시작이 있고 끝이 있는 것은모두 마찬가지란다.그 사이에만 사는 거지. 오늘도 행복하십시오. 더보기
소멸되는 것...혹은 사라지는 것. 죽음을 앞둔 두려움 중 하나는 바로 소멸(消滅)된다는 점일 겁니다. 내가 지니고 있는 모든 것, 내 존재가 사라지는 두려움 말입니다.   모든 이에게 각인되어 온 나의 존재가 기억에서만 존재하고시간이 흘러 그 기억조차 사라지는 순간도 올 겁니다.  본디, 유가(儒家)에서는 죽음의 이후는 설명하지 않습니다. 도교(道敎)에서 나온 신선, 사후세계의 자세한 나열들이 지금껏 우리 정서에 큰 영향을 끼쳐왔습니다. 여기에 조금 더해 불교의 정서도 큰 몫을 합니다.   사후에 영원한 삶이 있고 미래에 대한 믿음이 있기에, 소멸하는 죽음도 마음 깊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사라지는 건, 시작이 될 테니 말입니다. 더보기
파묘(破墓) 영화 파묘가 인기였던 모양입니다.묘를 파헤치는 행위를 영화적인 요소를 더해 흥미를 준 오컬트 작품인 듯합니다. 오컬트(occultism)란 위키백과엔 물질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숨겨진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 이라고 정의합니다.  참고로 전, 아직 이 영화를 아직 보질 못했습니다.그리고 직업이 직업인지라 오컬트 영화는... 가끔 제게 물어보십니다.아래 장면을 잠시 보시겠습니다. # scene 호기심 많은 분: 버~버이세요? (소곤대듯 조용한 소리와 약간 일그러진 표정으로)나: 멀여? (미간을 찌푸리며) 호기심 많은 분: 아 그런 거 있잖아요? 머 그런 거요? 귀신,영혼? 머 그런거...                          (말소리 낮추며 조심스럽게 귓속말로 )나: 아~, 네. 당연히 아무것도 .. 더보기
호상(護喪) 벌써 2주째 강행군입니다. 몸이 녹초가 되었네요. 고인을 뵙고 유가족을 만나면 참으로 묘한 겁(劫)의 인연(因緣)을 느끼곤 합니다.(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아~ 이분이 나를 여기까지 부르셨구나" 하고 말입니다.처음 뵙는 유가족께 심신의 안정과 신뢰를 드리는 것도 염사의 기본 덕목 중 하나입니다. "저를 가족같이 대해 주십시오"라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제가 호상의 역할을 하는 염사이고, 호상(護喪)은 유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반으로 나누어지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염사의 눈을 바라보세요!알 수 있습니다. 더보기
다사사회(多死社會) '다사사회'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무슨 말인가 깜짝 놀라셨지요?일본에서는 사회가 전반적으로 우울해지고 활력을 잃은 상태를이렇게 부른다고 합니다.이는 빠른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1인 독거노인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강 건너의 문제만이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도 1인 가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그중 50대와 60대의 고독사 비율이 전체사망자 중에서 53%를 넘어서고 있다고 합니다.사회적 관계망이 무너지고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다는 것이, 그 원인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며,그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많이 죽는다'는 말이 참으로 낯설고 조심스러워 집니다. 더보기